'트리는 센트로이드, 그래프는 SCC를 잡고 보면 편해진다' 라는 말이 있듯이 '기하는 컨벡스 헐을 잡고 보면 편해진다' 라는 말이 있다. 그 만큼 컨벡스 헐은 기하 문제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. 이번 글에서는 무작위 점들에서 컨벡스 헐을 잡는 대표적인 방법인 그라함 알고리즘을 소개하려고 한다. 컨벡스 헐(Convex Hull)이란? 한국어로는 볼록 껍질이고, 볼록 껍질이란 말이 이 단어의 의미를 정말 잘 설명해 준다고 생각한다. 말 그대로 '볼록' 한 '껍질'이다. 점들이 막 주어져 있을때 모든 점을 포함하는 볼록한 다각형을 의미한다. 그리고 보통 그 다각형의 꼭짓점을 모두 구하는 것을 '컨벡스 헐을 잡는다'라고 이야기 한다. 왼쪽 그림과 같이 점 들이 놓여져 있을때 오른쪽의 빨간 직선으로 이루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