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링크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591
문제 풀이
맨 처음에 같은 숫자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고, 배열에서 인접한 두 값을 통해서 순서 관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합하여 위상정렬을 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. 그래서 코딩을 바로 했고, 틀린 후에 같은 숫자의 가능성을 생각해냈다.
일정 시간동안 생각을 했음에도 풀이를 생각해 낼 수 없었고, 태그를 열어봤더니 오일러 경로가 있었다... 몰랐던 내용이었기 때문에 풀이를 보았다.
길이 m-1 개의 배열로 잘라서 생각한다. 그 m-1 길이의 배열간의 배치 순서를 모두 알 수 있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문제에서 주어지는 길이 m의 배열은 길이 m-1 배열 두 개의 인접한 순서 관계를 알려준다. 정확히는 맨 마지막 값을 제외한 m-1 길이의 수열 다음에 맨 앞의 값을 제외한 길이 m-1 배열이 등장한다는 것을 알려준다.
이렇게 알려준 모든 순서관계를 따라서 순회 해야 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오일러 회로를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. 각 m-1 길이의 배열을 정점으로 치환하면, 문제에서 주어지는 정보는 간선이 되고, 이를 따라서 오일러 경로를 찾아주면 된다.
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|
#include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typedef int ll;
typedef pair<ll,ll> pii;
typedef pair<pii,ll> piii;
#define ff first
#define ss second
#define ep emplace_back
#define eb emplace
#define pb push_back
#define all(v) v.begin(), v.end()
ll arr[1010101];
vector<ll> v[10101];
vector<ll> brr[10101];
vector<vector<ll>> vst;
ll nxt[10101];
ll ind[10101];
ll oud[10101];
ll cnt[10101];
vector<ll> pth;
ll n,m,sz;
void dfs(ll x){
while(v[x].size()){
ll p=v[x][v[x].size()-1];
v[x].pop_back();
dfs(p);
}
pth.push_back(x);
}
void get(){
for(ll i=1; i<=sz; i++) if(ind[i] < oud[i]){ dfs(i); return; }
for(ll i=1; i<=sz; i++) if(oud[i]){ dfs(i); return; }
}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ptr);
ll i,j,k,l;
cin>>n>>m;
for(i=1;i<=n-m+1;i++){
for(j=1;j<=m;j++) {
ll x;
cin>>x;
if(j!=m) brr[i*2-1].pb(x);
if(j!=1) brr[i*2].pb(x);
}
vst.pb(brr[i*2-1]);
vst.pb(brr[i*2]);
}
sort(vst.begin(), vst.end());
vst.erase(unique(vst.begin(), vst.end()),vst.end());
for(i=1;i<=n-m+1;i++){
ll x1=lower_bound(vst.begin(), vst.end(),brr[i*2-1])-vst.begin()+1;
ll x2=lower_bound(vst.begin(), vst.end(),brr[i*2])-vst.begin()+1;
v[x1].pb(x2);
oud[x1]++;
ind[x2]++;
cnt[x1]++;
cnt[x2]++;
}
sz=vst.size();
get();
reverse(pth.begin(), pth.end());
ll psz=pth.size();
for(i=0;i<psz-1;i++){
cout<<vst[pth[i]-1][0]<<' ';
}
for(auto k:vst[pth[psz-1]-1]){
cout<<k<<' ';
}
}
|
cs |
'코딩 > 랜덤 플레 디펜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J 16056 - Plug It In (2) | 2021.08.23 |
---|---|
BOJ 2802 - 크레용 (0) | 2021.08.23 |
BOJ 1989 - 부분배열 고르기 2 (0) | 2021.08.14 |
랜덤 플레 디펜스 기록장 (0) | 2021.08.13 |
랜덤 플레 디펜스 튜토리얼 (0) | 2021.08.13 |